본문 바로가기
샐러던트/석사논문 쓰기

마무리와 디펜스

by Dr. K 라운지 2023. 8. 5.
728x90

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마무리

석사 논문의 마무리는 대원칙이 있다. 모두가 인정하는 명작이 아니라, 나만의 의미 있는 명작을 만든다는 생각을 하면 된다는 것이다. 석사 논문은 태생적으로 부족함을 벗아날 수 없다고 본다. 연구(실험) 결과들에 대한 학술적 논문 작성을 해본 경험이 처음이기 때문이다. 보통의 글씨기, 책쓰기와는 다르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일반적인 연구(실험) 보고서가 되어서도 안되겠다. 그러기 위해 지도교수와의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동료 연구자의 검토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마무리 단계에서 내용에 대한 부분보다 전체적인 구성을 통해 구조화 되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작성자는 내용에 매몰되어 전체적인 구조를 간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처음 논문의 기획, 내용 디자인 단계에서 구조화를 했다고 했을 지라도 나만 이해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지도교수, 동료연구자 검토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디펜스

심사위원의 임무, 역할, 책임은 논문의 구조와 내용적인 오류를 수정해서 논문이 더 좋게 되도록 지적해 주는 것이다. 즉, 지적질을 하기 위해서 귀한 시간은 내서 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심사장에서의 지도교수는 이중적인 위치를 갖게 된다. 지도 교수는 나와 같이 논문 작업을 해왔기 때문에 심사장에 오기 전까지는 지적을 한다. 하지만 심사장에서는 최대한 방어 모드를 전개하게 된다. 다른 심사위원의 질문 및 지적에 대한 논리적인 답변 또한 대신(; 같이) 하는 공동 연구자의 역할 또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내가 연구한 결과들에 대한 정확한 내용 파악만 잘 되었다면 심사장이 본래의 목적인 질 좋은 논문 완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 본다. 심사장에서 지적받은 또는 요청되는 부분에 대해 전부 메모했다가 적절히 고쳐 나가야 한다. 이것은 심사위원에 대한 배려인 동시에 존중이다. 이럴 경우 보다 질 좋은 나만의 석사 논문이 완성될 것이다. 박사논문의 경우 2~3번 이상도 진행하기도 하지만 석사논문의 경우 1번 진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대학원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발표시간은 다를 수 있겠으나, 보통 질의 포함 20~30분이 일반적인 경우가 많다. 내가 들인 시간과 노력에 비하면 너무 짧은 시간이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내 연구(실험) 논문에 대한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정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간 분배를 잘못하여 마치 정리 안되고 마무리가 안된 논문으로 평가 된다면 그 보다 억울한 것이 없을 것이다. 경험적으로 석사학위  발표자료는 20장 이내로 준비하기를 권한다. 석사 논문 분량에 비해 너무 작다고 생각될 수 있겠으나, 심사위원들과의 소통을 더 중요시하는 것이 좋다. 즉, 논문에는 작성되었지만 발표자료에 없는 질문이 들어오는 경우, 말로서 설명하는 것이 연구자의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예상 질문을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한 연구(실험) 자료를 발표 뒷 부분에 미리 삽입해 두면 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 논문 16주 완성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4008551

 

[전자책]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예스24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www.yes24.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