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개요)
WEEK10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한 연구(실험) 방법이라면, WEEK11, WEEK12에서는 연구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이론을 작성한다고 구분하면 좋다. 이는 WEEK05~08의 실험 결과의 소제목에 대한 각각의 이론을 작성한다. 주 구성 내용 작성은 도서 > 학술 논문 > 학위 논문의 순서로 연구(실험) 결과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나 근거를 작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순서는 가장 객관적 신뢰의 내용 순서라고 이해하면 된다.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고 연구를 하는 것
<이론적 배경> 또는 <문헌 연구>에 작성하는 내용은 내 석사 연구와 관련된, 근거가 될 수 있는, 주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편적인 학문적 이론이나 법칙 등을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선행 연구들 중 내 석사 연구 논문 주제와 가장 맥락이 같이 학술 논문에 대하여 정리하는 것이다. 참고 문헌 작성과 동시에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참고 문헌이나 자료 등은 가급적 객관적으로 신뢰성있는 도서, 학술 논문, 학위 논문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에서 참고한 자료, 기사 등의 인용은 조심스럽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 다시 언급하지만, 논문 작성은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를 하는 것으로서 내 석사 연구 논문의 주제에 대한 주장에 맞는 내용으로만 작성되어야 한다. 연구(실험) 결과들을 설명, 근거 제시 또는 증명하기 위한 이론, 논문만을 인용 작성한다. 특히 선행 논문에 대한 인용인 경우 해당 논문 전체의 내용을 인용하기 보다 결과 또는 결론에 언급되는 내용만을 인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실험)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이론
연구(실험) 결과에 대한 설명과 분석,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가 될 수 있는 이론, 인용 문헌, 자료 등을 작성한다. 내가 진행했던 연구(실험)에 대한 타당성, 객관성을 나타낸다. 작성되는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진행된 연구(실험)의 형태에 따라 이론에 근거한 것인지, 이론화 되지는 않았지만 동료 연구자 등의 최근 연구동향에 근거한 것인지, 객관화된 자료에 근거한 것인지의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내가 진행한 연구(실험)에 대한 분야 및 영역을 규정하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어떠한 사실을 주장하기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관련 근거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내가 진행한 연구(실험) 결과들에 대한 타당성 또는 적합성 등이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주장하는 것인지를 보여주는 부분이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4008551
[전자책]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예스24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www.yes24.com
'샐러던트 > 석사논문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통계 6주 완성 (0) | 2023.08.05 |
---|---|
마무리와 디펜스 (0) | 2023.08.05 |
서론 중 시사점, 초록 (0) | 2023.07.05 |
결론 (0) | 2023.07.04 |
연구 방법 중 이론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