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개요)
결론에는 연구(실험) 방법에 대한 요약(WEEK04), 연구(실험) 결과들에 대한 정리(WEEK06~WEEK08), 연구의 한계점의 세단락으로 구성되도록 작성한다. 결론 작성의 경우 어떻게 보면 기계적인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미 작성된 WEEK별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분량은 일반적으로 1~2페이지로 정리하는 경우가 많다. 간혹 결론 부분에 요약식 또는 개조식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급적 문단 형식을 이용하여 서술하는 방법을 권한다. 중요한 내용 및 결과들에 대한 가독성을 좋겠으나, 학위논문의 경우에는 그 결과를 도출하게 된 경위나 배경 등을 함께 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약식 또는 개조식은 학위 논문 디펜스때 발표자료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디펜스때에는 설명식 표현보다 요약식, 개조식이 가독성이 더 좋다는 것은 경험했을 것이다.
연구(실험) 방법에 대한 요약
WEEK04 연구(실험) 방법에서 작성한 자세한 스펙, 조건은 제외하고 대상, 장비, 도구, 장치 및 그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한다.
연구(실험) 결과 중 소제목별 주요 내용 정리
소제목별 주요 결과 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듯 작성한다. 첫번째로, 연구(실험) 결과 부분의 구분된 소제목에서 연구(실험) 결과들을 설명을 위해 사용한 표, 그림, 수식 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추천한다. 다시 한번 연구(실험) 내용을 검토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연구 내용에 대한 체계성을 갖출수 있는 시간이 된다. 표, 그림, 수식 등을 설명식으로 서술하고 다시 중복하여 쓸 필요는 없다. 두번째로, 소제목 간의 결과들에 대한 인과성이나 연계성 등에 대하여 작성한다. 연구(실험) 결과 작성(WEEK06-08에 진행)에서는 해당 소제목에서의 연구(실험) 결과들에 대한 나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결론 부분에서는 소제목간의 인과성이나 연계성, 관계성 등을 작성해 나간다. 세번째로, 연구 목적에서 제시한 내용과의 연결이다. 연구(실험) 결과들은 서론 부분 작성시 제안하였던 목적을 어떻게, 어떤 결과 들로 달성 하였는지를 서술한다.
연구의 한계점이나 추후 진행 내용 제언
이제 마무리 단계에 있는 석사 논문을 작성하다보면 아쉬움도, 후회도, 불안감도 생길 것이다. 조금만 더 할 걸, 조금만 더 할까?, 이 부분이 빠져있네, 여기서 이런 질문이 나오면 어떻게 하지? 등등이 작성하는 과정에서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없다.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서 연구의 한계점이나 추후 진행 내용으로서 남겨두면 되는 것이다. 내 석사 연구 논문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향후 추가 연구의 영역을 분명히 구분한다면 오히려 잘 정돈된 학위 논문으로 평가 받을 수 있다. 또한 디펜스 진행할 때에도 이 부분을 언급함으로써 이거 좀 부족한데라는 심사위원의 마음을 달랠 수 있다.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E000005505773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Edward KANG | e퍼플- 교보ebook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ebook-product.kyobobook.co.kr
'샐러던트 > 석사논문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 석사논문 작성을 위한 기초 통계 6주 완성 (0) | 2023.08.05 |
---|---|
마무리와 디펜스 (0) | 2023.08.05 |
서론 중 시사점, 초록 (0) | 2023.07.05 |
연구 결과 중 이론 (0) | 2023.07.03 |
연구 방법 중 이론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