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논문11

참고문헌 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개요) 참고문헌은 석사 논문이 마무리 되었을때, 최종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 각 부분별로 수정사항이 거의 없다고 판단될 때 참고 문헌을 정리한다. 앞서 주차별 참고 문헌을 작성한 부분을 보면, 연구(실험) 방법(WEEK04), 연구(실험) 결과II/III/IV(WEEK06-08), 연구 방법 중 이론(WEEK10), 연구 결과 중 이론(WEEK11-12), 서론 중 시사점(WEEK14)에서 문헌 인용이 있을 것이다. 자체 번호로 작성되었던 참고 문헌들을 양식에 맞는지 확인하는 동시에 전체 일련번호를 체크하면서 정리해 나간다. 박사학위 논문들 중 일부에서는 각 챕터별로 참고문헌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지만, 석사학위 논.. 2023. 9. 13.
서론 중 목적 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개요) 의 내용중 맨 마지막 단락에 작성하는 부분이다. 연구 목적은 연구(실험) 결과를 작성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면 비교적 쉽게 작성할 수 있다. 석사 학위 논문 심사위원이 연구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가장 먼저 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석사 연구 논문에 대한 질적 평가의 시작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내 석사 논문의 연구 목적 작성 방법 연구(실험)결과를 작성하면서 내 석사 논문 연구에 대한 목적이 자연스럽게 정리가 될 것이다. 연구 결과들에 대한 정리와 연구 결과들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면서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일반적인 결과들과 (내 석사 논문 연구 주제에 대한 주관적인) 연구 결과들로 구분이 될 것.. 2023. 8. 10.
연구(실험) 방법 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이제 실제로 논문쓰기에 들어간다. 가장 먼저 작성할 목록이 연구(실험) 방법이다. 연구 방법 항목에는 연구 대상, 연구 도구, 분석 도구에 대하여 가급적 자세하게 작성한다. 자세하게 쓸 수록 연구 결과를 작성할 때 도움이 된다. 또한 석사학위 논문 디펜스 진행 시 심사장에서 많은 질문이 나오는 부분이며, 논문의 신뢰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대상 계열에 따라 대상이 다양할 것이므로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상황, 환경과 해당 연구 대상의 특징을 자세하게 작성한다. 또한 연구 대상을 선택한 이유와 타당성을 설명한다. 그럼으로 인해 연구의 경계가 좀 더 명확하게 설정되어 학술 논문으로서의 체계성을 확보할 수 .. 2023. 8. 8.
경계 정하기 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개요) 내용 디자인(논문계획서 작성)은 '지금부터 논문 공부 시작할께요'가 아니라 '이제부터 논문쓰기 시작할께요'이므로 내용 디자인이 석사학위를 받기위한 첫 단계로서 내 스스로 내 논문에 대한 구상을 문서화(논문계획서)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경계 정하기는 내 논문에 대한 객관적 관점에서 구조화 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객관적 검토자와 토론을 할 수록 질 높은 석사논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구성/내용 검토 내용 디자인(논문 계획서)의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실험)방법에 대한 동료검토 및 (지도)교수 검토를 통하여 논문을 구체화한다. 논문 계획서는 어디까지나 현재의 상태에서 .. 2023. 8.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