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던트,대학원,석사학위,석사논문,논문작성,학위취득,논문쓰기,졸업논문,논문,석사,졸업
(개요)
방대하게 조사되고 분석된 연구 결과들을 내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구조화된 전개와 합리적 설명을 통하여 설득력있는 논문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연구 결과 내 소제목의 구조화는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전체적인 틀을 보여주고 체계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소제목들에 대한 예상 결과들로부터 내 논문의 주장에 대한 객관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소제목 구조화(WEEK05, PART I)
소제목 구조화는 머리속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소제목 구조화를 위하여 연구 결과들에 대한 가시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측정 데이터로부터 또는 분석 도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에 대한 표, 그래프, 그림, 사진 등을 말한다. 모든 얻을 수 있는, 만들어 낼 수 있는 결과(표, 그래프, 그림, 사진 등)들을 모은 후 각각의 가시화된 결과들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소제목을 결정하면서 구조화한다. 소제목 구조화가 잘 되어 있다면 논문의 결론 작성이 매우 쉽고 빠르게 또 체계적으로 작성될 수 있다.
소제목으로 번호화하기
연구(실험) 결과들에 대한 구조화와 동시에 소제목에 대한 번호화를 해야한다. 연구(실험) 결과들을 통해 전달하고자(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소제목을 정해야 한다. 이렇게 미리 번호화 된 소제목들 하에서 결과들을 재배치한다. 이때 추천하는 방법으로는 표, 그래프, 그림, 사진 등을 배치하면 좀 더 빨리 논문의 구조화와 논문 연구 내용을 체계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추가로 만들어야할 표, 그래프, 그림, 사진 등이 보일 것이다. 즉, 부족한 부분이나 추가할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정이라고 보면되겠다. 이러한 과정을 위해 한 주를(WEEK05) 할애하는 것이다. 잘 정돈된 석사학위 논문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다.
----------------------------------------------------------eof
연구(실험) 결과 작성(WEEK06~WEEK08, PART II~IV)
(개요)
연구(실험) 결과 작성이 실제로 가장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내 석사 학위 논문의 질이 결정되는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간 내 원만하게 석사 논문을 작성을 진행하기 위해 구조화된 소제목을 정확히 3등분하여(주당 30%씩) 작성할 것을 추천한다. 모든 소제목에 대한 가중치를 같게 두어야한다는 말이다. 많은 컨설팅, 협업 과정에서 경험한 바에 의하면, 어느 한 부분에만 치중하게 되어버리는 경우가 아주 빈번하게 발생되었다는 것이다. 그럴 경우 주장 내용이 명확치 않은 석사 논문이 되거나 석사 논문 자체가 모호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각 소제목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들에 대한 명확한 결론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각 소제목들 간의 내용에 대한 인과성 또는 연계성에 대하여서도 설명할 필요가 있다.
PART II/III/IV 설정과 작성하기
구조화된 소제목에 사용 될(; 설명 될) 표, 그래프, 그림, 사진 등 세부 추가 항목들을 추가 재배치한다. 소제목의 내용에 맞게 연구(분석) 결과들을 우선 배치한 후 각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서 내용을 채워 나간다. 내 연구(실험) 결과로 설명이 부족한 경우 또는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사한 결과 또는 동료 연구자들의 다른 자료(연구, 논문 등)에 대한 내용 등을 추가하면서 작성하고 소제목에서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를 구체화한다. 참고로 표, 그래프, 그림, 사진 등은 한 쪽에 배치하여 가독성을 높임과 동시에 표 제목, 그래프 제목 등에도 명확한 정보를 작성함으로서 연구(실험)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표 제목은 표 상단에, 나머지 그래프, 그림 등의 제목은 하단에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시되는 표, 그래프, 그림 등이 배치된 쪽만 봐도 결과 및 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표, 그래프, 그림 등의 번호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하고, 설명 내용 부분과 일치되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추가되는 표, 그래프, 그림 등이 발생한 경우 바로 내용부분 확인 후 동시에 수정하여야 혼돈을 피할 수 있다.
Tip: 참고문헌도 소제목 별로 자체 번호로 작성해 나간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9949620
[전자책]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샐러던트를 위한 석사논문 16주 완성
www.aladin.co.kr